이경애展/ Lee kyoung-Aei/李慶愛 > 로고스갤러리

본문 바로가기

로고스갤러리

이경애展/ Lee kyoung-Aei/李慶愛

페이지 정보

작성자최고관리자 작성일 14-01-24 23:58

본문

 

 

 

Going Home어릴 적 할머니와 창호지 문에 꽃잎으로 장식하던 기억, 햇살이 비치면 드러나는 창호지문의 빛깔로 할머니의 진한 사랑이 묻어나오고 안방 아랫목에 발을 묻고 가족 간 따스함이 온몸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경험 하곤 했었다. 사람은 시간과 함께 성장하지만 그 집에 대한 기억은 아련한 정서로 굳어져가는 우리네 마음을 녹인다. 집은 일반적으로 기초적인 의식주의 주거의 개념에서 시작되어 사람이 삶을 이루기 위해 지은 건축물을 뜻한다. 집은 기후의 변화 등 외부 환경으로부터 가족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여 안전하게 지켜주는 공간이기도 하고 가족 간에 사랑과 믿음을 서로 나누고, 정신적 안정을 얻을 수 있는 에너지원이다. 그 모습이나 형태는 환경과 시대에 따라 변화되어 왔지만 인류에게 가장 필요한 거주의 개념이 오늘날 점차 우리들에게 가치교환적인 욕망의 대상이 되어 집의 존재는 현대 물질주의 사회 모습을 외형적으로 가장 잘 나타내고 있다. 집은 우리 모두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공간 이지만 그렇다고 누구나 가질 수 없는 것이 현실이 되었다. 끊임없는 과거 현재 미래로 개인 삶의 지속성이 이루어지고 있는 순환적 공간으로서 집의 형태와 의미는 바뀌었지만 자기기재 방어적 공간, 물질가치 교환가치인 house가 home이란 의미를 되찾기 바라며 나는 집을 그리고 짓는다.수많은 공간과 장소에 존재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경제적인 안정을 조건으로 더 편리한 구조의 외적 조건으로 소유하려는 욕망으로서의 집이 아니라 따뜻하고 위안이 되는 가정, 누구에게는 경험되어진 공간, 누구에게는 희망의 공간, 또 다른 이에게는 꿈의 공간, 향유의 공간으로 내용 있는 삶의 의미를 내포한 집인 것이다. 어머니 모태와 같은 편안함, 따스함, 안전함 등 다른 누구에게는 정신적 본향으로서의 안식처와 같은 집 그 속에 담고 있는 비밀스럽고도 다양한 각 각의 삶의 형태를 상징적 조형언어로 표현하고자 한다.■이경애

 

 

                               로고스전원갤러리 LOGOSPASTORALGALLERY_20140123

 

 

                                   http://blog.naver.com/choicreation/100204268592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1건 3 페이지
게시물 검색

  •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예배안내

주일예배
  1부: 오전 9시
  2부: 오전 11시
  3부: 오후 2시
수요예배오전 10시 30분
새벽기도오전 5시 30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