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끗한 부자 가난한 성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최고관리자 작성일 13-06-08 22:19본문

그리스도인의 지갑, 딜레마에 빠지다
“그리스도인들도 하루 종일 한 푼이라도 더 벌려고 뛰어다닙니다. 돈 문제가 대다수 평범한 그리스도인의 삶에서도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는 말입니다. 그런데 왜 목사들은 이 실제적인 주제에 대해 도움이 되는 가르침은 주지 않고 공허한 소리만 하고 있는 겁니까?”
깨끗하게 벌어 부자가 될 것인가, 끊임없이 비워 내는 가난을 따를 것인가. 치우쳐 있는 한국교회의 물질관, 현실 경제 속의 그리스도인들은 늘 혼란스럽다.
이제 청부론과 청빈론의 프레임을 넘어서 다시 성경으로 돌아가 보자. 과연 성경은 ‘지상의 좋은 것들’을 어떻게 향유하라고 말하고 있는가? 저자는 부와복에 대한 성경의 본문들을 묵상하면서 현대의 그리스도인이 일상적으로 고민하는 일터, 재테크, 헌금, 가난과 부의 문제를 고찰하고 교회 안의 제도화된 물질적 욕망을 비판한다. 그리고 성경이 우리에게 초대하는 삶, 즉 자족과 절제, 나눔을 통해 더 자유롭고 참되게 누리는 삶을 어떻게 살아가라고 초대한다.
*성경은 재물에 대해 무엇이라고 말하는가?
*성경은 부를 복으로 보는가?
*청부론과 청빈론 무엇이 문제인가?
*십일조, 어떻게 할 것인가?
*저축, 보험, 금융 투자는 불신앙의 행위인가?
*사유 재산과 이윤 추구에 대한 성경의 관점은 무엇인가?
*물질에 사로잡힌 한국 교회, 치유책은 무엇인가?
*성경이 말하는 부자의 의무는 무엇인가?
[독자 대상]
-그리스도인으로서 어떻게 경제생활을 영위해야 하는지 궁금한 독자
-성경이 돈에 대해 어떻게 말하는지 관심 있는 독자
-기독교적 재물관을 균형 있게 가르치고자 하는 목회자와 리더
“그리스도인들도 하루 종일 한 푼이라도 더 벌려고 뛰어다닙니다. 돈 문제가 대다수 평범한 그리스도인의 삶에서도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는 말입니다. 그런데 왜 목사들은 이 실제적인 주제에 대해 도움이 되는 가르침은 주지 않고 공허한 소리만 하고 있는 겁니까?”
깨끗하게 벌어 부자가 될 것인가, 끊임없이 비워 내는 가난을 따를 것인가. 치우쳐 있는 한국교회의 물질관, 현실 경제 속의 그리스도인들은 늘 혼란스럽다.
이제 청부론과 청빈론의 프레임을 넘어서 다시 성경으로 돌아가 보자. 과연 성경은 ‘지상의 좋은 것들’을 어떻게 향유하라고 말하고 있는가? 저자는 부와복에 대한 성경의 본문들을 묵상하면서 현대의 그리스도인이 일상적으로 고민하는 일터, 재테크, 헌금, 가난과 부의 문제를 고찰하고 교회 안의 제도화된 물질적 욕망을 비판한다. 그리고 성경이 우리에게 초대하는 삶, 즉 자족과 절제, 나눔을 통해 더 자유롭고 참되게 누리는 삶을 어떻게 살아가라고 초대한다.
*성경은 재물에 대해 무엇이라고 말하는가?
*성경은 부를 복으로 보는가?
*청부론과 청빈론 무엇이 문제인가?
*십일조, 어떻게 할 것인가?
*저축, 보험, 금융 투자는 불신앙의 행위인가?
*사유 재산과 이윤 추구에 대한 성경의 관점은 무엇인가?
*물질에 사로잡힌 한국 교회, 치유책은 무엇인가?
*성경이 말하는 부자의 의무는 무엇인가?
[독자 대상]
-그리스도인으로서 어떻게 경제생활을 영위해야 하는지 궁금한 독자
-성경이 돈에 대해 어떻게 말하는지 관심 있는 독자
-기독교적 재물관을 균형 있게 가르치고자 하는 목회자와 리더

머리말
서론
1부 한국 교회의 불균형적 물질관
1장 청부론과 번영 신학/ 2장 청빈론과 금욕주의
2부 성경은 부를 어떻게 보는가
3장 구약의 상징적 복/ 4장 신약의 영적인 복/ 5장 복의 신학
3부 자족, 누림 그리고 나눔
6장 탐심을 이기는 자족/ 7장 염려로부터의 자유/ 8장 십일조, 어떻게 드릴 것인가
4부 일터와 교회에서
9장 일중독 사회/ 10장 사유재산과 이윤 추구/ 11장 목회자와 물욕
5부 가난과 부
12장 가난한 자들의 하나님/ 13장 부자의 의무
결론
부록
주
참고 도서
성구 찾아보기
서론
1부 한국 교회의 불균형적 물질관
1장 청부론과 번영 신학/ 2장 청빈론과 금욕주의
2부 성경은 부를 어떻게 보는가
3장 구약의 상징적 복/ 4장 신약의 영적인 복/ 5장 복의 신학
3부 자족, 누림 그리고 나눔
6장 탐심을 이기는 자족/ 7장 염려로부터의 자유/ 8장 십일조, 어떻게 드릴 것인가
4부 일터와 교회에서
9장 일중독 사회/ 10장 사유재산과 이윤 추구/ 11장 목회자와 물욕
5부 가난과 부
12장 가난한 자들의 하나님/ 13장 부자의 의무
결론
부록
주
참고 도서
성구 찾아보기

양낙흥
양낙흥 서울대 영문과(B. A.)를 졸업하고 해군사관학교 교수부 영어과 교관으로 복무한 후 고려신학대학원(M. Div.), 예일대학(S. T. M.), 풀러신학대학원(Ph. D.)에서 수학했다. 90년대 초부터 고려신학대학원 교수로 봉사하고 있으며 미국 프린스턴신학대학원, 칼빈대학, 예일 신학대학원에서 객원 교수로 연구한 바 있다. 저서로 Reformed Social Ethics and the Korean Church (New York: Peter Lang Publishing Inc.)를 비롯, 한국복음주의신학자 대상 수상작이자 한국기독교출판협회 신학 부문 최우수상을 받은 <조나단 에드워즈, 생애와 사상> 등 다수와 <칼빈주의 역사와 성격> <조나단 에드워즈의 부흥론> 등 여러 역서가 있다.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